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투자자라면 수백번도 넘게 들어봤을 PER의 개념에 대해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PER은 Price to Earnings Ratio의 약자로, 기업의 주가 대비 주당 순이익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은 기업의 수익성과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여겨지는데요.
쉽게 설명하면 기업이 버는 돈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게 평가되고 있는지 봐주는 지표입니다.
기업이 버는 돈에 비해 주가가 낮으면 저평가 되었으니 매력적일 가능성이 높은 반면,
기업이 버는 돈에 비해 주가가 너무 높으면 고평가 되었으니 팔아야 할 유인이 높은 것이죠.
1. PER의 개념과 계산법
주가 대비 주당 순이익 비율을 나타내는 PER은 기업의 주가를 EPS로 나눈 값입니다.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기업이 1주당 얻는 순이익을 의미합니다.
PER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ER = 주가 / EPS
EPS = 1년간 기업이 벌어 들인 영업이익 / 주식 수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10,000원이고, 해당 기업의 EPS가 1,000원이라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 A기업의 PER은 10이 됩니다.
이는 A기업의 주가가 해당 기업의 주당순이익의 10배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PER의 의미와 해석
PER이 낮은 기업은 주가 대비 수익이 높은 기업으로 판단됩니다.
즉, 해당 기업의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저평가된 것으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PER이 낮은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면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면, PER이 높은 기업은 주가 대비 수익이 낮은 기업으로 판단됩니다.
즉, 해당 기업의 가치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평가된 것으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PER이 높은 기업의 주식을 매수할 때에는 해당 기업의 성장 잠재력과 투자 기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만, 단순히 PER이 높다고 무조건 고평가 되었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2차 전지나 제약주와 같이 당장 수익이 많지는 않은 기업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익성이 높아질 것 같다면 높은 PER을 받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PER이 높다, 낮다를 판단할때는 보통 동종산업 평균치와 비교를 많이 합니다.
A기업이 제조업 기업이라고 하면 A기업의 PER이 제조업 평균 PER 대비 높은지 봐주는 것이죠.
혹은 A기업의 과거 PER을 기반으로 현재 PER 값이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판단하고는 합니다.
3. PER과 다른 지표들과의 연관성
PER은 주식 투자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투자 시에 꼭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PER만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PER을 함께 고려할 지표들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지표로는 PBR, ROE, EPS 등이 있습니다.
PBR은 Price to Book Value Ratio의 약자로,
기업의 주가 대비 자본금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은 기업의 가치 평가에서 자본금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PBR이 1보다 작으면 주가가 자본금보다 낮은 것으로, 저평가 기업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기업이 투하한 자본금에 대한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이 높을수록 기업이 높은 수준의 이익을 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OE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EPS는 앞서 언급했듯이,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기업이 1주당 얻는 순이익을 의미합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높은 이익을 내고 있으며,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ER을 비롯한 이러한 지표들은 서로 연관성이 있으며,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투자 시에는 PER을 비롯한 다른 지표들도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해야 합니다.
또한, PER은 기업의 실적이나 산업 특성 등에 따라 크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ER을 보고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때에는
단기적인 주식 가격 변동 등을 고려하여 미래 전망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PER은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지만,
단일 지표로만 판단하기보다는 다양한 지표와 정보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PER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투자이야기 > 종목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에어 주가전망 및 분석_내년 최대 영업이익 기록 전망? (0) | 2022.09.25 |
---|---|
SK텔레콤 주가 전망 및 분석_안정적 실적과 다양한 투자포인트 (1) | 2022.09.24 |
오리온 주가전망 및 분석_초코파이야 부탁해.. (1) | 2022.09.20 |
LX인터내셔널 주가전망 및 분석_높은 실적에 배당까지 (1) | 2022.09.19 |
동양생명 주가전망 및 분석_배당수익률 상위 주식 (0) | 2022.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