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재연스러운 이야기입니다.
오늘 소개드릴 주식 종목은 한독크린텍이라는 기업입니다.
사업모델이 정말 단순합니다. 블랙카본이라는 정수기 필터 매출이 99%인데요.
그럼에도, 이 회사의 매력 포인트는 어떤 것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한독크린텍은 7/22 종가 기준 10,500원으로 시가총액 881억원의 기업이에요.
코스닥 945위의 시가총액으로 소형주에 속합니다.
PER 이 16.91배로 동일업종 PER인 9.77배에 비해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 한독크린텍은 동일업종으로 구분된 기업들과 사업 특성이 매우 다릅니다.
한독크린텍은 '블랙카본 필터'라는 정수기 필터를 제조하는 업체이고,
동일 사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국내기업이 없습니다.
현재 동일업종으로 구분된 업체들은 코웨이, 쿠쿠홈시스 등의 정수기 렌탈업체
혹은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 필터 제조업체들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아예 사업 모델자체가 다른 기업들을 동일업종으로 구분하기는 무리가 있지 않을까요?
재무상태를 살펴보면, 매출액은 증가추세에 있다 2021년에 크게 꺽였습니다.
영업이익, 순이익 역시 마찬가지였고요.
2021년 실적 감소의 원인은 코로나 19에 따른 수출 감소와
주요 정수기 제조업체들의 신공장 건설에 따른 일시적 수주 감소에 의한 결과였습니다.
2022년 1분기 실적은 다시금 회복추세에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채비율 및 당좌비율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기업 안정성은 매우 높습니다.
수익도 지속적으로 발생중이니, 재무적인 원인에서 상폐 리스크는 극히 낮다고 보시면 됩니다.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볼까요? 너무너무 간단합니다.
정수기 필터 판매 비중 99.2%, 에어필터 0.8%입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사실상 정수기 필터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기업이죠.
그렇다면 이런 단순한 기업의 투자 포인트는 어떤 점이 있을까요?
(1) 카본블랙필터 영역에서 독점적 지위를 지닌 기업
카본블랙 필터는 정수기 필터의 한 종류로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입니다.
카본블랙의 경쟁력은 정수된 물의 맛을 해치지 않는가 / 압축도가 어느정도인가로 결정됩니다.
한독크린텍은 압축 카본블록 필터 영역에서 돋보적인 기술력을 보유 중이며,
현재 국내에서 마땅한 경쟁사가 존재하지 않는 실정입니다.
이를바탕으로 한독크린텍은 국내 주요 정수기 제조사인
코웨이, LG전자, SK매직, 삼성전자, 교원, 쿠쿠홈시스 등에 모두 제품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해자가 있었기 때문에 한독크린텍이 오직 정수기 필터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이죠.
(2) 동남아 시장 및 수출 확대에 대한 기대감
한독크린텍의 실적은 정수기 완성 업체들이 얼마나 동남아 시장을 잘 공략하느냐,
이 부분에서 굉장히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데요.
현재 코웨이, LG전자, 쿠쿠홈시스 등의 정수기 제조업체들은
정수기 보급률이 낮은 동남아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말레이시아는 정수기 시장이 매년 약 17%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인도네시아는 14%의 성장 추세가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다른 동남아 국가들도 경제 성장에 따라 정수기 사용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전망입니다.
특히, 지난 6월에는 한독크린텍이 신규 개발한 상업용 필터를
미국에 초도 수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습니다.
동남아가 아닌 곳에서도 수출 활기가 돌고 있는 것이죠.
정수기 시장의 성장성과 한독크린텍의 자체적인 수출물량 증가는
판매량 증가로 직결되는 요소이고, 이는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아직 열려 있는 에어필터 사업의 확장 가능성
아직 매출 비중이 0.8% 밖에 되지 않는 사업이기는 하지만,
한독크린텍은 정수기 필터 기술을 통해 에어필터 사업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정수기필터와 에어필터 사이에는 기술적인 연관성이 존재하고,
한독크린텍 입장에서는 사업을 다각화할 수 있는 역량이 존재하는 것이죠.
또한 동사가 보유하고 있는 고객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에어필터 사업에서도 충분히 업사이드가 존재하는 상태라고 보여집니다.
한독크린텍, 너무나도 간단하지만 명확한 매력이 존재하는 기업이지 않나요?
사업의 경제적 해자와 재무적 안정성으로 인해 리스크가 낮은 편이며
메크로적인 경제 환경을 볼때 업사이드는 충분히 열려있는 기업이니까요.
이상으로 한독크린텍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많은 관심 및 좋아요를 부탁드리며,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투자에 대한 권유글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투자이야기 > 종목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소개] 야수의 심장_미국 3배 레버리지 ETF 상품소개 (0) | 2022.07.26 |
---|---|
[종목소개] 플리토 분석 및 전망_AI 관련주 (0) | 2022.07.24 |
[종목소개] 현대차 사상최대 실적, 앞으로의 전망은? (0) | 2022.07.22 |
[종목소개] JEPI_제2의 월급, 미국 월배당 투자 (0) | 2022.07.21 |
[종목소개] 켐트로닉스_자율주행부터 무선충전까지 (0) | 2022.07.20 |